728x90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issue를 통해서 팀원과 소통하는 일이 생긴다.
우리 조는 GITHUB을 통하여서 issue 이름과 내용을 작성하고, pull request 시에 해당 이슈를 태그하는 방식으로 이슈 추적을 하려고 했다. 하지만 이때 개개인이 다르게 issue를 작성한다면 이슈 내용 파악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통일된 Templates를 통해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면 팀원끼리 소통하는데 조금 더 수월할 수 있다.
Issue Templates 생성하기
깃헙에서 내 issue를 생성하고 싶은 레퍼지토리에 들어가서 setting을 누르고 스크롤 하면

Features에 Set up templates를 찾을 수 있다.

해당 버튼을 누르면 기초 템플릿을 설정할 수 있다.

결국 커스텀 가능하지만, 기본적인 모양이 갖춰져 있는 Feature request를 선택하고 수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버그 수정용 템플릿이라면 위에껄 선택)

기본적인 양식은 위와 같은데 제목옆에 연필 버튼을 누르면 수정이 가능합니다.

위의 템플릿이 어떤 형식으로 되었는지 볼 수 있습니다. 위 코드와 비교해보면 **이 굵게 한다는것도 알 수 있네요
꾸미는 자세한 방법은
작성을 완료하고 issue를 처음 발행하려고 하면 템플릿 설정창이 뜹니다.

해당 파일을 선택하면 내가 작성했던 템플릿이 issue 작성시마다 불러와 지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만들 경우에는
매번 getStarted를 통해서 작성하는 불편함이 생긴다. 레포지토리를 보면 아래와 같은 구조로 되어있다.
(해당 폴더안에 있는 파일들을 자동으로 제안함)

이를 default 값을 미리 설정하고 싶다면 작성했단 이슈 파일명을 issue_template.md 로 변경하고 , 이전에 생성했던 폴더를 제거하면 된다.

pull_request_template 또한 동일한 과정을 거쳐 작업하면 된다.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action으로 ec2에서 안 쓰는 도커 이미지 관리하기 (0) | 2023.09.30 |
---|---|
github 액션 오류 수정하기(버전 오류, build오류) (0) | 2023.09.18 |
Git 사용 이유와 시나리오 (0) | 2023.05.24 |